-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민구 원장 새해인사
...
2021/12/31자세히보기
-
[2021 총결산④] 회원 및 전문가의 사업 참여 현황
2021년 한림원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맞는 사업방식을 발굴하고, 사회공헌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어려운 상황에서도 과학기술계 및 각 분야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덕분입니다.사업에 참여해주신 많은 회원 및 전문가들께 감사드리며, 각 부문별 전문가 참여현황 자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2021/12/31자세히보기
-
[2021 총결산③]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시상사업
...
2021/12/30자세히보기
-
[2021 총결산②] 청소년과학영재사사
자세히보기
-
[2021 총결산①] 한림원석학과의 만남
자세히보기
-
2021년 Y-KAST Members Day 개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는 12월 14일 더 플라자 호텔에서 '2021년 Y-KAST Members' Day'를 개최했다.현장에는 한민구 원장, 정진호 총괄부원장을 비롯한 한림원 운영진과 신입 차세대회원 28인 등 40명이 참석했으며, 온라인으로 실시간 생중계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회원패 수여 후 신입 차세대회원으로부터 소감과 연구분야 소개를 듣는 시간이 마련됐다.[행사 전체보기]※ 유튜브 하단의 동영상 정보에서 '더보기'를 누르고, 시간(푸른색 글자)를 클릭하면 원하는 회원...
2021/12/21자세히보기
-
[한림원탁토론회] 인간의 뇌를 담은 미래 반도체, 뉴로모픽칩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2월 13일(월), '인간의 뇌를 담은 미래 반도체, 뉴로모픽칩'을 주제로 제 193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주제발표]- 윤태식 울산과학기술원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교수, '[소자] 뇌를 모사한 인공 시냅스 소자'- 최창환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시스템] 3차원 집적된 뉴로모픽 소자 시스템'- 박진홍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응용] 센서 기술과 뉴로모픽 기술의 융합: Sensory-Neuromorphic Technology'[지정토론]- 좌 장: ...
2021/12/15자세히보기
-
[온라인공동토론회] 과학기술 기반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차기정부의 과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2월 6일(월) 오후 3시, '과학기술 기반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차기정부의 과제'를 주제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온라인 공동 토론회를 개최했다. [과학기술 기반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차기정부의 과제]- (주제발표 1) 배종태 KAIST 경영공학부 교수, '대한민국 과학기술정책의 비전과 전략목표'- (주제발표 2) 이공래 아시아혁신연구원 원장, '과학기술 기반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정책과제'- (지정토론)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강학희 CTO(최고기술경영인) ...
2021/12/07자세히보기
-
2021년도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시상식 개최
한민구 과학기술한림원 원장(왼쪽 5번째), 박성우 에쓰오일 부사장(왼쪽 9번째), 백운규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 이사장(왼쪽 11번째), 이대순 한국대학총장협뢰 이사장(왼쪽 16번째)이 2일 시상식을 마친 뒤 수상자 및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2월 2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에쓰오일 본사에서 '제11회 에쓰오일 우수학위 논문상' 시상식과 '제3회 차세대과학자상' 시상식을 개최했다.이날 시상식에서 수학·물리학·화학·화학공학/재료공학·IT 등 5개 분야에서 우수학위 논문으로 선정된 젊은 과학자 10...
2021/12/07자세히보기
-
제4회 노벨상수상자와의 대담(매더 NASA 박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2월 2일(목) 오전 10시 30분, 200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매더(John C. Mather) 미국항공우주국(NASA) 박사를 초청하여 '제4회 노벨상 수상자와의 대담'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매더 막사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로서 우주배경 탐사선 코비(Cosmic Background Explorer Satellite, COBE)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배경복사의 형태가 불균일성을 띠는 것을 발견하고 우주생성의 원리를 밝혀내는 데 큰 기여를 하여, 2006년 조지 스무트 박사(George Smoot)와...
2021/12/02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