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난제도전 협력지원단
- 과학기술 최고 석학 전문가들로 기획조정위원회 구성, 과학난제 발굴 및 과제기획
- 전문위원회(난제분석전문팀) 구성, 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 수행 및 국제협력 지원
사업목적
과학분야 난제를 숙의과정을 통해 선정, 다양한 연구자들의 자발적 교류와 참여가 가능한 R&D과제를 발굴하고 과학난제 극복을 위한 도전적 융합연구 수행을 지원합니다.
- 현장 연구자들의 적극적 참여 및 연구자 커뮤니티의 활발한 아이디어 교류를 촉진하여 과학난제 상시 발굴체제 확립
- 과학기술 全 분야에 걸쳐 석학급 전문가 집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학제 융합과 폭넓은 협업을 촉진함으로써 난제도전 연구의 성공적 수행 지원
사업내용
- 구분
- 내용 및 역할
-
미래개척융합
과학기술개발사업
-
과학난제도전 융합개발사업 (2020~)
-
사업내용: 기존 연구에서 풀지 못했거나 시도하지 못했던 과학난제를 새로운 초융합을 통해 돌파하여 해결책 제시
지원단 역할: 과학난제 후보군 발굴·선정, 맞춤형 과학 난제 기획 지원, 난제 발굴 오픈플랫폼 운영,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 등
-
STEAM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과학난제 도전형 (2022~)
-
사업내용: 현재 기술로는 해결이 어려운 임무에 대한 기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여러 분야 과학기술·집단 간 융합연구
※ 도전적인 연구주제에 대해 해결 가능성을 검증하고(1단계),
단계평가를 통해 검증된 과제들에 대해 Scale-up 연구 지원(2-3단계)지원단 역할: 상동
추진경과
- 연구자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융합 도전과제 발굴 기획연구 수행 (2018)
- 과학난제 극복을 위한 도전적 융합연구 활성화 기획연구 수행 (2018~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년도 융합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발표 (2019)
- 한림원을 지원단으로 지정, 제57차 융합기술개발 추진위원회에서 통과 (2019)
- 국가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협약 체결 및 운영 개시 (2020)
- 기초과학·공학 분야별 난제 발굴 체계 구축 기획연구 수행 (2022)
- 기존 세부사업에서 STEAM연구사업 내역사업으로 편입 (2022)
- 주무 부처 이관, 과기부 융합기술과에서 공공융합연구정책과로 이관 (2023)
-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사업으로 총괄사업명 변경 (2025)
주요실적
- 2020년도 한국 과학난제도전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 (2020)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사업 2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0)
-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과학난제도전 융합포럼 개최 (2020)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적극 행정 최우수 사례 선정 (2021)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사업 3개 선도형 융합연구단 선정 (2021)
- 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단 메타버스 성과교류회 개최 (2021)
- 이스라엘 R&D 혁신 토론회 개최 (2022)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4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2)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상반기 4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3)
- 2023 융합연구 워크숍 개최 (2023)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하반기 4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3)
- 해외석학 초청행사 ‘2023 Grand Challenge Summit on DNA Nanotechnology’ 개최 (2023)
-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도전형) 6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4)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2개 융합연구단 선정 (2024)
- 해외석학 초청행사 ‘Cosmology in Multi-Messenger Era’ 개최 (2024)
-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과학난제 융합연구단 3개 선정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