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탁토론회] 인공지능과 신소재의 만남, 자율 실험실 시대를 논하다
- 이름 |
- 관리자
- Date |
- 2025-10-31
- Hit |
- 145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정진호, 이하 한림원)은 10월 21일(화), 한림원회관에서 'AI×신소재: 미래 산업소재의 혁신설계'를 주제로 제242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과학기술의 핵심 분야와 인공지능의 접점을 다루기 위해 한림원이 기획한 'AI 프런티어 시리즈'의 네 번째 순서로, 신소재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을 위한 AI 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최윤석 삼성종합기술원(SAIT) 마스터(상무)가 발제하고 있다.
이날 사회를 맡은 이영국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공학부 정회원)가 핵심 의제를 설명하며 원탁토론회가 시작되었다. 주제 발표는 최윤석 삼성종합기술원 마스터, 한승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신정호 한국화학연구원 디지털화학연구센터장이 맡았다.
먼저 최윤석 마스터는 'AI와 로봇을 활용한 소재 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주제로 산업적 측면에서 논제를 다뤘으며, 한승우 교수는 '신소재를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전망'을 주제로 AI 모델이 가져올 패러다임 변화를 소개하였다. 마지막 주제 발표자인 신정호 센터장은 '소재 AI 활용을 위한 생태계 기반의 빅데이터 구축'을 주제로 무인 실험실과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전략을 제시했다.
지정토론 및 자유토론에서는 박철민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한림원 차세대부장)가 좌장을 맡았다. 서동화 KAIST 교수, 조기섭 국민대학교 교수, 최순주 LG 에너지솔루션 책임연구원이 참여해 AI 실험실의 도입·운영 전략, 도메인지식과 AI 기술의 융합, 산업계 데이터 개방의 윤리적·기술적 과제 등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지정 및 자유토론에서 참석 전문가들이 논의하고 있다. (좌측부터) 서동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조기섭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최윤석 삼성종합기술원 마스터, 박철민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좌장), 한승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신정호 한국화학연구원 디지털화학연구센터장, 최순주 LG 에너지솔루션 책임연구원
한편 한림원은 'AI 프런티어 시리즈: S&T×AI, 미래를 설계하다' 한림원탁토론회를 오는 11월까지 총 7회에 걸쳐 교육, 방산, 물리, 신소재, 농생명,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신약개발 등의 분야를 주제로 순차 개최하고 있다.
[주제발표]
-최윤석 삼성종합기술원(SAIT) 마스터(상무) 'AI와 로봇을 활용한 소재 개발 프로세스 혁신'
-한승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신소재를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전망'
-신정호 한국화학연구원 화학플랫폼연구본부 디지털화학연구센터 센터장 '소재 AI 활용을 위한 생태계 기반의 빅데이터 구축'
     
[지정토론(좌장:박철민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서동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조기섭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최순주 LG에너지솔루션 책임연구원
     
[유튜브 다시보기]
| 이전글 | |
| 다음글 | |




작성자홍보전략실 연락처031-710-4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