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2회 한림원탁토론회(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변화와 대응) 개최
- 이름 |
- 관리자
- Date |
- 2020-07-14
- Hit |
- 1388
“코로나19 이후 한국농업과 밥상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7월 15일(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변화와 대응’ 주제 온라인 토론회 개최
-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식량안보, 농업부문 비대면 경제구조 확산 등 논의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과 비대면 경제사회시스템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정책 방향과 과학기술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과기한림원)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 등과 함께 7월 15일(수) 오후 2시 30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산업의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제162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 과기한림원 유튜브(YouTube) 채널에서 실시간 생중계
□ 이날 토론회에서는 △코로나19가 미친 농업·농촌 부문의 영향과 과제 △코로나19 이후 주목받을 농산업 분야와 혁신기술 △산업·연구개발·소비자·식문화 측면에서의 변화와 대응 등을 중심으로 주제발표와 지정토론이 진행된다.
ㅇ 첫 번째 주제발표는 김홍상 농촌경제연구원 원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정 전환과 과제’를 주제로 발제한다. 김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외식업·화훼 수요 급감과 학교급식 축소 등의 영향이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한 농산물 공급 차질과 수요 감소, 농촌 사회서비스 악화라는 근본적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10대 농업 행정 과제를 제안한다.
ㅇ 두 번째 주제발표는 김두호 국립농업과학원 원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술’을 주제로 발제한다. 김 원장은 코로나19 관련 농업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 R&D의 방향으로 디지털 농업기술, 식량의 안정적 공급, 고부가 바이오기술,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구축 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혁신기술과 예시 분야를 소개한다.
ㅇ 지정토론에서는, 권대영 한국식품연구원 전 원장을 좌장으로 이태호 서울대학교 교수, 임용표 충남대학교 교수, 이학교 전북대학교 교수,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 김성윤 조선일보 기자(음식전문기자) 등이 참여해 학계, 소비자, 언론 측면에서의 대응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이어간다.
ㅇ 이번 토론회는 과기한림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되며, 유튜브 댓글 및 사전 질의사항 대해 발표자들과 토론자들이 실시간으로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
□ 한민구 원장은 “농식품 분야는 국가경제는 물론 국민들의 삶의 질과 건강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분야”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와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중장기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갈 수 있는 과학기술적 해결방안과 정책 대안을 논의하고자 한다”고 개최 취지를 밝혔다.
붙임: 제162회 한림원탁토론회 행사일정표 1부.  끝.
※ 이 사업은 복권기금 및 과학기술진흥기금 지원을 통한 사업으로, 우리나라의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전글 | |
다음글 | |
작성자홍보팀
연락처031-710-4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