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4회 한림원탁토론회(젊은 과학자가 보는 10년 후 한국 대학의 미래) 개최
- 이름 |
- 관리자
- Date |
- 2020-07-29
- Hit |
- 1316
젊은 과학자가 보는 10년 후 한국 대학의 미래는?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7월 30일(목) 온라인 토론회 개최
-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화 및 교육·재정시스템 개선방안 제시
□ 코로나19, 저출산 등으로 교육혁신의 필요성이 촉구되고 있는 가운데, 만45세 이하 우수 젊은 과학자들로 구성된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 회원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대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과기한림원)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과 함께 7월 30일(목) 오후 3시, ‘젊은 과학자가 보는 10년 후 한국 대학의 미래’를 주제로 제164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 과기한림원 유튜브(YouTube) 채널에서 실시간 생중계
□ 이날 토론회에서는 대한민국의 초저출산 문제,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전 세계적인 변화 등에 대응하여 대학의 역할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갈 수 있는 방안 등을 국제화 및 교육·재정시스템 등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ㅇ 첫 번째 주제발표는 손기훈 포항공과대학교 교수가 ‘국제화를 통한 초저출산 시대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진행한다. 손 교수는 우수한 외국인 학생 및 연구인력의 국내 대학 유치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ㅇ 이어 이성주 아주대학교 교수가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교육 시스템의 진화’를 주제로 발제한다. 이 교수는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며 Y-KAST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변화의 방향을 소개한다.
ㅇ 마지막으로 주영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의 재원 마련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주 교수는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대학의 재정 현황을 살펴보고 세계주요 대학 및 연구소의 재정 마련 사례 등을 바탕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ㅇ 지정토론에서는, 장호원 서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김병수 연세대학교 교수, 정우성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나석인 전북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해 △대학의 국제화 △교수의 역할 △교육시스템의 변화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열띤 토론을 이어간다.
ㅇ 이번 토론회는 과기한림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되며, 유튜브 댓글 및 사전 질의사항 대해 발표자들과 토론자들이 실시간으로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
□ 한민구 원장은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현재와 미래에 현명하게 대응해 가기 위해서는 학문적 연구와 인재양성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대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대학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모아보고자 한다”고 개최 취지를 밝혔다.
붙임: 제164회 한림원탁토론회 행사일정표 1부.  끝.
※ 이 사업은 복권기금 및 과학기술진흥기금 지원을 통한 사업으로, 우리나라의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전글 | |
다음글 | |
작성자홍보팀
연락처031-710-4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