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총-공학한림원-과기한림원 공동토론회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에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 이름 |
- 관리자
- Date |
- 2019-08-07
- Hit |
- 1430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한국공학한림원-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공동 토론회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에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일 시 I  2019년 8월 7일(수) 15:00 
 장 소 I  양재동 엘타워 골드홀(지하1층)
 주 최 I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인사 말씀
최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 조치로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학기술계는 앞으로의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아래와 같이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그동안 정부와 기업계는 소재․부품 산업 진흥을 위해 노력했고, 상당 수준의 국산화 성과를 거두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소재와 부품 수입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가운데,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충격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관련되는 3가지 핵심소재 중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 등은 90% 이상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었습니다. 그동안 국제 분업체제와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어, 경제성과 시간적․비용적 측면을 고려할 때 시장 진입 결정이 쉽지 않았던 측면이 있었습니다. 
이번 사태는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만드는 발전의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성과가 설비 투자, 제품의 양산과 납품 등으로 연결되는 가치 사슬의 건전성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이는 결코 단기간에 쉽게 성취할 수 있는 목표는 아닙니다. 그러나 할 수 있고, 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경제적 가치와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소재․부품 산업의 자립화, 글로벌 수준의 국산화를 실현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특히 기초과학분야와 관련 산업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기업 경쟁력 강화에 필수인 혁신 생태계 조성, 정부의 전략적인 과학기술산업 정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과학기술계는 심기일전(心機一轉) 하여 산업경쟁력 강화의 역군이 돼야 할 것입니다.
이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등 3대 기관은 현재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충격을 벗어나 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 공동토론회를 개최합니다.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9년 8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김명자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권오경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한민구
이전글 | |
다음글 | |
작성자정책연구팀
연락처031-710-4606